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87

부활(復活)하신 예수님이 이 땅에 머문 40일 동안, 사람들에게 나타나신 사건! 예수님은 우리 모두의 죄를 십자가에서 담당하시고 부활하셨다. 그리고 부활하신 예수님은 곧바로 하늘로 승천( 昇天)하신 것이 아니라, 40일 동안 이 땅에 더 머물러 계시면서 사람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일’을 말씀하셨다.(행1:3) 성경에는 부활하신 주님이 40일 동안 나타나신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 무덤가에서 막달라 마리아에게 나타나셨다.막 16:9 "예수께서 이레의 첫날 새벽에 살아나신 뒤에, 맨 처음으로 막달라 마리아에게 나타나셨다. 마리아는 예수께서 일곱 귀신을 쫓아내 주신 여자이다." ​요20:14-18 "이렇게 말하고, 뒤로 돌아섰을 때에, 그 마리아는 예수께서 서 계신 것을 보았지만, 그가 예수 이신 줄은 알지 못하였다. 예수께서 마리아에게 말씀하셨다. "여자여, 왜 울고 있느냐? 누구를.. 2024. 5. 24.
'신약성경의 서간문학'과 '바울의 연대기' 1. 들어가는 말  몇 년 전, 서울남연회의 한 지방에서 서로의 교회를 섬기고 있던 목회자 부부들이, 바울의 선교지를 따라 순례를 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나의 마음에 가장 크게 와 닿았던 것은, 바울이 걸어 다니기도 하고 때론 머물렀다고 성경에 기록된 장소들이, 그 자리에 실제적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부연하자면, 내가 믿고 사모하는 성경의 내용들이, 허구(fiction)가 아닌 nonfiction이라는 사실을 직접 체험하고 큰 은혜를 받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신약성경의 서간문학과 바울의 연대기'를 읽으며 그 때의 감동이 다시 되살아남을 느낄 수 있었다. 이유인즉, '나는 나, 너는 너'라고 철저하게 객관화시킬 수 있었던 바울 서신들이, 더욱 친근하게 다가오는 것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 2024. 5. 24.
‘조직신학’ 예수 그리스도 2017년  M.Div. 1학기 과정을 밟을 때, 조직신학 강의를 들으며 작성한 글이다.  ⟪그리스도론에 대한 정경적 심정적 접근⟫  ※18세기 라이마루스에 의한 역사적 예수님 연구의 첫 학문적 시도→역사적 예수님의 원래의 교훈과 삶이 사도들에 의해 조작된 십자가 사건의 의미와 부활에 대한 믿음과 크게 다름을 주장 (제 1탐구)→슈바이처는 실제 예수님은 유대교 묵시문학적 배경 속에서 활동한 인물로 자신이 메시야라는 자의식과 함께 종말을 기대했던 사람으로 결론 내림. ※19세기 여러 자유주의 신학자들에 의한 역사적 예수님 연구는 도덕적 이상을 지닌 휴머니스트로 그려냄. ※마르틴 캘러는 역사적 예수님은 역사적으로 재구성이 불가능하며 오직 신앙의 그리스도가 진정한 예수님이라고 주장함.  ※불트만학파의 케제만은.. 2024. 5. 24.
‘효 그리스도론에 대한 연구’ Ⅰ.효 그리스도론의 의미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성실은 인간의 믿음이 아니라 하나님아버지의 성실로부터 비롯된다는 헤이즈의 주장은, 하나님과의 언약을 깨뜨린 이스라엘을 대신하여, 메시아 예수의 언약적 성실을 통해 하나님의 성실이 드러났다고 본 톰 라이트의 해석과 일치한다. 이 주장은 '신적 소명', '신적 정체성'의 관점에서 보다 '메시아적 소명'의 관점에서 그리스도론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현대 그리스도론에 대한 탐구에서 서구 신학자들은 고대교회의 그리스도론을 '위로부터의 그리스도론'으로, 역사비판학적 성경연구에 근거한 역사적 예수, 그것에 대한 관심을 전제로 한 그리스도론을 '아래로부터의 그리스도론'으로 보았다. 효 그리스도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효성'에 대한 연구이다.  효 그리스도론은.. 2024.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