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 계발

⌨ 브랜딩을 위한 글쓰기

by tat tvam asi 2024. 5. 24.
반응형

 

 

CLASS 1O1에서 여러 강의들을 수강하고 있는 중이다. 유익한 내용들을 기록으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짧게 정리해 보기로 한다.

 

브랜드  마케팅현직 브랜드 마케터가 알려주는 브랜딩을 위한 글쓰기

                                        - 강사 : 크리에이터 김일리

 

참 유익하게 들었다. 강사의 탁월함이 강의 내내 흘러나왔다. 아주 일부만을 정리하게 된 것이 아쉽다. 다시 한 번 더 들어보겠다는 생각을 한다....

 

 

※ 마케팅을 위한 글쓰기와 브랜딩을 위한 글쓰기가 다르다.

 

마케팅 : 제품, 서비스를 실제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알리거나 파는 촉진 행위. 즉 내가 파는 제품이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구애하는 행위하고 볼 수 있다.--->다른 사람에게 사랑을 얻기 위한 구애에 비유할 수 있다. 사용자와 고객을 바라보는 것이다.

 

브랜딩 :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한 철학, 가치관, 본질, 성격 = 하나의 인격이다--->좋은 사람이 되기 위한 과정이자 노력에 비유할 수 있다. 나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마케팅을 위한 쓰기 = 고객들에게 직접 읽히는 글을 쓰는 것
ex) 광고 카피, 홈페이지 문구, 상품 소개 페이지, SNS에  올라가는 글 +  UX Writing(사용자 경험을 위한 글쓰기)

                                   

브랜딩을 위한 글쓰기(BX Writing)는 이 모든 것을 떠받치는 글쓰기이다. 

 

 

 

BX Writing의 목표는, 글로써 그 브랜드의 인격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 BX Writing의 세 가지 요소

 

1. 페르소나(PERSONA)

■ 우리 브랜드를 어떤 모습과 성격을 갖춘 사람으로 만들 것인지?

어떤 가치관과 특징을 갖춘 사람으로 만들 것인지?

 

2. 화법(SPEECH)

■ 어떻게 말할 것인가? '말하는 방법'에 대한 선택

■ 화법은 대화 뿐 아니라 텍스트에서도 드러난다!

 

3. 언어(LANGUAGE)

■ 우리 브랜드가 사용할 말과 글의 체계

■ 브랜드 언어 = 메시지이자 내용!

 

☆ BX Writing의 핵심 - 페르소나, 화법, 언어를 얼마나 세밀하고 생동감 있게 만드느냐!

 

"저는 글재주가 없어요..." ---> 브랜드를 깊게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브랜딩 하고자 하는 욕구가 더 중요!

 

※ 우리 브랜드의 본질은 무엇일까?

 

나는 우리 브랜드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을까?

 

좋은 브랜드들은 본인  스스로를 잘 파악하고 있고, 어떤 질문에도 명료하고 체계적으로 대답하며, 우리다움을 지키면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다!

 

 

표면적인 이유만으로는 브랜드의 본질을 파악할 수 없다. 

좋은 브랜드를 위해서는 밑바닥에 숨어 있는 본질을 찾아내야 한다. 

 

☆브랜드의 본질을 찾는 3가지 물음

 

1. 우리는 무엇을 파는가?

경쟁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우리가 가진 최고의 장점과 핵 가치는 무엇인가?

■ 궁극적으로 우리가 가고자 하는 지점은 어디인가?

 

2. 우리는 누구에게 파는가?

'무엇을 파는가?'라는 질문과 연결 지어서 그 가치를 가장 잘 소화할 수 있을 것 같은 사람을 구체화 해본다.

ex) ♪ 직장인을 위한 워크웨어를 만드는 F브랜드 ⎥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

      취미 공유 플랫폼 K 브랜드  ⎥  타인과의 교류 속에서 나를 성장시키고 싶은 사람

 

3. 우리는 파는가?

■ 우리 브랜드가 이 시장에 있어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존재 이유)

■ 우리 브랜드는 왜 세상에 나왔는가?  (우리 브랜드의 FAN들의 반응을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우리 브랜드를 쓰기 전과 쓰고 난 후의 변화 같은 것을 파악하면 분명히 알 수 있다.)

 

☆브랜드의 본질을 찾으면 무엇이 좋은가?  ---> 우리가 해야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이 보인다. 

 

※ 우리 브랜드를 나타내 줄 '브랜드 키워드' 찾기

면접 시험을 볼 때 면접관의 질문 : "지원자님이 어떤 사람인지 한 단어 혹은 한 문장으로 표현해 주세요!"

 

이 질문의 의도 :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스스로 잘 알고 있는가? 스스로 이해한 당신을 잘 표현할 수 있는가?

 

☆브랜드를 찾는 방법(우리가 원하는 브랜드를 만들기 전 vs 현재 담당하거나 관리하고 있는 브랜드가 이미 존재하는 상황)

 

1. 발산(divergence) : 만들고자 하는 브랜드의 이상적인 모습을 마음껏 펼쳐본다. 포스트잇을 사용해 보는 것이 좋다. 표현하고자 아는 것을 포스트 잇에 한 장씩 써서 한쪽 벽에 계속 붙여가는 것이다. 생각나는 것을 마구잡이로 적어서 붙여 으라!(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을 정제하지도 말고 분류하지도 말고, 날 것 그대로 30~70개까지 기록해서 붙여보라!)

 

2. 수렴(convergence) : 발산해 놓은 단어들을 그룹핑을 통해 정리하는 단계(거의 약 5~6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3. 키워드 추출의 단계 : 그룹핑한 단어 혹은 문장들을 하나의 키워로 1:1 매칭시는 단계 ---> 추출한 키워드를 하나로 묶어줄 상위의 키워드  ---> 이 키워드가 우리 브랜드를 나타내 줄 브랜드 키워드이다.

 

가급적 키워드는 한 단어, 최대 두 단 정도로만 조합하라!

하나의 브랜드는 최대 3개 정도의 핵심 키워드를 갖는 것이 적절하다. 

비주얼 이전에 반드시 텍스트를 통해 이 브랜드가 나아갈 방향을 정한다. 

 

※ 브랜드 키워드를 이미지로 연결하는 방법

좋은 브랜드란, 브랜드를 만든 사람의 가치관과 소비하는 사람의 가치관이 일치하는 브랜드가 좋은 브랜드이다. 

 

브랜드 키워드에 어울리는 이미지 수집하기(우리가 발굴한 각 키워드들에 적합한 이미지나 영상 등 비주얼 요소를 자유롭고 다양하게 모으는 작업)

 

■ WIT :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는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BOLD : 애매모호하거나 경계가 불분명한 것 보다는 명확하고 강인한 느낌

 

TAKE LEAD : 시대, 흐름, 분위기, 이야기 등을 한 발짝 앞에서 주도할 수 있는 

 

☆ 이미지를 Pick한 이유를 한 줄로 설명하기(이미지 안에서도 워딩을 한 번 더 발굴하는 것이다. 비주얼 콘셉트를 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깉은 이미지를 보고도 다 다른 느낌을 가질 뿐 아니라, 감동 포인트도 다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반드시 자신이 고른 이미지를 보며 "어디서, 무엇이, 어떻게 좋았다..."라고 한 줄 설명이 가능해야 한다. 

 

한 줄 설명이 어려운 이미지는 과감히 버리도록 한다. 비주얼과 텍스트가 함께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다. 

 

MISSION! 내가 만들고 싶은 브랜드의 브랜드 키워드를 발굴해 보자!

 

※ 브랜드 페르소나 이해하기

 

PERSONA : 타인(혹은 다른 대상)에게 부여된 하나의 인격, 누군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설계하고 창조해 낸 새로운 자아 

 

페르소나가 왜 브랜딩에서 중요한가? 우리 브랜드가 전하고자 하는 것의 일관성, 예측 가능성, 생동감을 위해서이다.

 

브랜드 경험을 위한 페르소나 : 우리 자신에 초점을 맞춰 하나의 새로운 캐릭터를 탄생시키는 작업. 일회성 목적을 가지는 UX 페르소나와 달리 브랜드의 생명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 

 

☆브랜드 페르소나를 잘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1. 이미 존재하는 인물을 활용하라. 

 

단순히 한 명의 캐릭터와 브랜드를 1:1 매칭시키는 것은 아니다. 그 사람의 매력적인 어느 부분을 빌려오는 것이지, 그 사람자체를 대입시키는 것이 아니다.   샘플로 잡은 페르소나 인물의 장점을 글로 잘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2. 외부 요소보다는 가치관에 집중하라.  

 

"Do or Don't 차트 활용하기

 

페르소나가 할 법한 행동은 무엇이고, 하지 않을 법한 행동은 무엇인지 적어야 한다. 

 

3. 가상의 아티클을 작성하라.

 

우리 브랜드가 론칭했을 때, 어떤 인터뷰 기사가 쓰여질지 미리 상상한다. 

 

브랜드 런칭 - 성장 - 정점 - 리뉴열 등 각 부랜드가 성장 과정에서 어떤 기사가 나올지를 예측해 보자!

 

※ 브랜드 화법 만들기

 

브랜딩 화법을 만든다는 것은 = 우리 브랜드의 커뮤니케이션 방향과 전략을 결정하는 것

 

우리 브랜드가 말을 한다는 것 = 우리 브랜드의 페르소나가 말을 한다는 것

브랜드 페르소나에 집중해서 화법을 그리자!

 

글이 닿는 모든 지점을 체크하자! ---> 브랜드 네이밍, 슬로건, 메인 카피, SNS 채널, 스토어 상세 페이지, 결제화면, CS채널, 반품/환불 접수창, 각종 굿즈 문구 등 메인 스폿과 서브 스폿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다!

 

센스는 타이밍이다!


'언제'라는 시간적, 시점적 타이밍이 중요하다. '언제 우리 이야기를 던질 것인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