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과연 살아계신 하나님, 에 7:1~10, 에스더 시리즈 설교(8)

by tat tvam asi 2024. 5. 25.
반응형

https://media.bible.art/4bda93ce-53d3-4b07-ac00-da99b5c8f205-compressed.jpg

 

 

 

과연 살아계신 하나님

7:1~10

 

1. 정확한 분별력을 주십니다

 

아하수에로 왕은 하만을 데리고 에스더가 베푼 두 번째 잔치에 갑니다. 첫 번째 잔치 때는 하만이 한껏 기분이 좋고 우쭐하였지만, 두 번째 잔치 때는 하루 종일 눈에 가시처럼 여기는 모르드개 태우고 마부노릇 하고 왔기에, 심상치 않게 돌아가는 것을 알고 매우 초조해 합니다.

 

7:1 / 왕이 하만과 함께 또 왕후 에스더의 잔치에 가니라

 

두 번째 잔치가 시작되고 왕은 또 다시 왕후 에스더에게 물어봅니다.

 

7:2 / 왕이 이 둘째 날 잔치에 술을 마실 때에 다시 에스더에게 물어 이르되 왕후 에스더여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냐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냐 곧 나라의 절반이라 할지라도 시행하겠노라

 

이때 에스더가 드디어 입을 열어 말을 합니다.

 

7:3-4 / 왕후 에스더가 대답하여 이르되 왕이여 내가 만일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입었으며 왕이 좋게 여기시면 내 소청대로 내 생명을 내게 주시고 내 요구대로 내 민족을 내게 주소서

나와 내 민족이 팔려서 죽임과 도륙함과 진멸함을 당하게 되었나이다 만일 우리가 노비로 팔렸더라면 내가 잠잠하였으리이다 그래도 대적이 왕의 손해를 보충하지 못하였으리이다 하니

 

저를 살려주시고 제 민족을 살려주십시오.’ 간정합니다. 왕은 펄쩍 뜁니다. 도대체 누가 왕후를 죽이려 하고 누가 왕후의 동족들을 진멸한단 말이요? 감히 그런 일을 계획한 자가 누구요? 그때 에스더가 말합니다.

 

7:5-6 / 아하수에로 왕이 왕후 에스더에게 말하여 이르되 감히 이런 일을 심중에 품은 자가 누구며 그가 어디 있느냐 하니

에스더가 이르되 대적과 원수는 이 악한 하만이니이다 하니 하만이 왕과 왕후 앞에서 두려워하거늘

 

"하만입니다." 폭탄선언입니다. 이 폭탄선언에 하만은 간이 철렁 내려앉고 그 자리에 얼어붙어 떨기 시작합니다.

 

7:7 / 왕이 노하여 일어나서 잔치 자리를 떠나 왕궁 후원으로 들어가니라 하만이 일어서서 왕후 에스더에게 생명을 구하니 이는 왕이 자기에게 벌을 내리기로 결심한 줄 앎이더라

 

왕은 화가 나서 왕궁 후원으로 나가버립니다. 하만의 꼬임에 넘어가 자칫 사랑하는 아내를 죽일 뻔 한 걸 생각하면 아찔하면서도 화가 치밉니다. 거기다가 전에 하만이 유다인은 백해무익한 족속이니 죽여야 된다며 고소했었는데(3:8,9), 모르드개나 왕후를 보면 유다인이야 말로 유익하기 그지없는 족속이었던 겁니다. 자신이 하만에게 철저히 속았고, 하만은 자기를 이용해 먹은 것입니다. 생각이 여기에 미치자 분노가 걷잡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하만도 굉장한 세력을 가진 자이기에 어떻게 처리할까 머리가 복잡한 거예요.

 

여기서 우리는 에스더가 이제는 말할 때가 되었다 확실히 판단하였기에 하만을 고소하였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그토록 신임하던 하만을 모르드개 마부노릇 시키는 것을 보고는 왕의 마음이 하만에게서 돌아섰다 것을 간파한 것입니다. 그러면서 이것이 하나님께서 주시는 때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그 때를 놓치지 않고 승부수를 던집니다. 이것이 분별력입니다. 어떤 문제가 생기면 우리는 힘들어 하는데, 그 이유는 불확실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 불안하고 힘든 것입니다.

 

그래서 그 불확실성을 어떻게하든지 잠재워보려고, 사람도 만나 이리저리 물어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분서주 합니다. 그러나 분별력이 있으면 확실하게 결단할 수 있습니다. 그럼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있다면 분별력을 달라고 기도해야 합니다.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갈 수 있도록 인도하심을 구해야 합니다. 에스더가 얼마나 많이 기도하였겠습니까? 간절히 마음을 쏟아가며 기도하지 않았겠습니까? 그 결과 에스더는 분별력을 얻게 됩니다.

 

2. 악인이 뿌린대로 거두게 하십니다

 

그동안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며 마음껏 호령하던 악인 하만을 하나님께서 어떻게 무너뜨리시는지 한 번 봅시다. 왕이 화를 참지 못하고 자리를 뜨는 것을 보자 하만은 왕이 자기에게 벌을 내리 실것이라 직감합니다. 어제까지는 에스더가 절박하였는데, 이제는 하만이 절박해 졌습니다. 하만은 에스더 앞에 엎어져 살려달라고 애원을 합니다. 마침 그때 후원에 나갔던 왕이 다시 들어와서 그 장면을 봅니다.

 

7:8 / 왕이 후원으로부터 잔치 자리에 돌아오니 하만이 에스더가 앉은 걸상 위에 엎드렸거늘 왕이 이르되 저가 궁중 내 앞에서 왕후를 강간까지 하고자 하는가 하니 이 말이 왕의 입에서 나오매 무리가 하만의 얼굴을 싸더라

 

하만이 에스더가 앉은 걸상에 엎어져 빌었던 건데 이게 공교롭게도 결정타가 되어버렸습니다. 이 지역의 걸상은 지금 우리가 쓰는 걸상이 아니고 베개를 옆구리에 끼고 옆으로 길게 드러눕도록 만들어진 침상 같은 걸상입니다. 거기에 에스더가 옆으로 누워 있는데 하만이 그 위에 엎어진 겁니다. 모양새가 좀 이상야릇합니다. 안 그래도 열 받아 있던 아하수에로 왕이 그 장면을 보자 그냥 폭발을 해버린 거예요. 왕의 명령이 떨어지기 무섭게 호위병들이 하만의 얼굴을 보자기로 싸버렸습니다. 옛날에는 죄수의 얼굴을 보자기나 대나무 삿갓 같은 것으로 덮어 씌웠습니다.

 

여러분, 하나님의 때가 무르익지 않았을 때는 악인이 주도권을 잡고 의인은 억울함으로 울어야만 합니다. 하나님은 계시지 않은 것처럼 느껴집니다. ‘하나님이 어디 있어? 있다면 세상이 이래?’ 이런 말이 난무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개입하셔서 정리하실 때가 되면 뒤집힐 것 같지 않던 것이 뒤집힙니다. 깨지지 않을 것 같던 철옹성이 깨집니다. 악인의 위세가 꺾이고 속이며 행하던 악한 일들이 만천하에 드러납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현재가 다가 아닙니다. 현재의 억울함이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어떻게 바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주의 깊게 깨달아야 할 것은 이런 일이 단 번에 일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하만은 나라의 2인자로 아마 거대한 정치세력의 수장(首長)이었을 것입니다. 그럼으로 왕과 하만은 관계는 돈독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서서히 균열이 오고 마침내 무너지게 됩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결국 기도의 힘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결국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기도하며 하나님께 내어맡기는 순종하며 나아가는 것이 쌓이고 쌓여 마침내 이런 결과를 가지고 온 것입니다.

 

7:9-10 / 왕을 모신 내시 중에 하르보나가 왕에게 아뢰되 왕을 위하여 충성된 말로 고발한 모르드개를 달고자 하여 하만이 높이가 오십 규빗 되는 나무를 준비하였는데 이제 그 나무가 하만의 집에 섰나이다 왕이 이르되 하만을 그 나무에 달라 하매

모르드개를 매달려고 한 나무에 하만을 다니 왕의 노가 그치니라

 

그런데 오늘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의 도우심을 갑작스러운 일이라든지, 아니면 요행으로 바라 보지 말아야 합니다. 에스더와 모르드게와 온 유대인들이 기도하며 나아갔던 것처럼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신뢰하며 믿음으로 나아가는 자에게 함께하심을 바라보는 주님의 자녀가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