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98

예수님, 나의 예수님!(2020년 청년들과 나눈 이야기) https://youtu.be/oqKUDWNKHs4  제가 결혼하기 전, 그러니까 지금부터 28년 전 쯤 부모님과 함께 다니던 교회에서 오랫동안 교회학교 교사를 했었어요. 그 때, 같이 교사를 하던 여자 선생님 중에 산을 아주 잘 타는 분이 계셨어요. ​ 어느 해인가 그분과 청년부 수련회를 함께 갔는데 일정 중에 치악산을 밤을 새워 등반하는 야간등반 프로그램이 있었어요. 모두들 지쳐서 주저앉을 지경이었는데, 산을 좋아하는 그 여선생님은 끝까지 산에서 날라다니더라구요...^^ 아주 오래 전 이야기지만, 산을 좋아해서 날라다니는 그분을 보면서 저는 문득 이런 생각을 했던 것이 기억이 나네요.  ‘예수님을 따르는 길은 희생의 길이 아니라 걸어가는 자체가 즐거움의 과정 아닐까! 무얼 꼭 하라고 명령을 받고, 안.. 2024. 5. 24.
한국교회 신뢰성 회복을 위한 과제 2018년  M.Div. 3학기 과정을 밟을 때, '한국교회와 사회' 강의를 들으며 작성한 글이다.   여는 글 1960년대 이후 급성장하던 한국교회가 2000년대에 와서는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보다 심각한 위기는 성장이 멈추었다는 것이라기보다는 교회가 사회적 공신력을 잃어 그 평판이 나쁘다는 것이 더 뼈아프게 다가오고 있다. ‘기독교 윤리실천운동’의 ‘2017년 한국교회신뢰도조사’를 살펴보면 전반적 신뢰도에 있어 (그렇다 20.2%, 그렇지 않다 51.2%) 부정적인 의견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2천 년대에 와서 한국교회가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는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그 위상이 끝없이 추락하여 사회적 공신력을 상실했다는 질적인 측면에서 생.. 2024. 5. 24.
⟪함께 살아나는 마을과 교회⟫ 2018년  M.Div. 3학기 과정을 밟을 때, '한국교회와 사회' 강의를 들으며 작성한 글이다.  Ⅰ. 머리말  저자가 머리말에서 밝히고 있듯이 지역공동체 운동은 텃밭 다지기와 같다. 한국 교회에 대한 사람들의 신뢰가 매우 낮은 상황에서는 전도하기가 점점 어려워지는데, 이는 사람들은 신뢰하지 않는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웃 사랑의 실천으로 지역공동체 운동에 열심히 참여하다 보면 교회에 대한 신뢰가 쌓이게 되고, 전도의 방편이 아닌 진정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나가다 보면 복음의 문도 열릴 수 있음을 제시한다.  Ⅱ. 본문내용 1부. 죽어가는 한국교회와 사회 살리기 1) 한국 개신교가 생명력을 잃고 있다.  저자는 교회에 다닌다는 것이 더 이상 신뢰의 기준이 되지 못하.. 2024. 5. 24.
< 발달이론의 대표적 학자들(피아제, 에릭슨, 로렌스 콜버그, 제임스 파울러)의 이론> 1. 피아제 Piaget(1896-1980)의 인지발달론 피아제는 인지발달 연구를 집대성한 사람이다. 피아제는 아동의 사고는 두 가지 과정을 통해 발달한다고 보았다. 즉 동화(assimilation) 와 조절(accomodation) 의 과정이다. 피아제는 일관성 있게 틀리게 대답하는 아이들을 보면서 아이들의 사고 구조와 어른들의 사고 구조와는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즉 피아제는 스키마 틀을 바꾸는 조절과 동화를 정리하면서, 인지발달은 스키마가 확대되고 정교해져 가는 것이라 말하였다. 또한 아동의 발달에서 중요한 것은 성숙이라 보았다.예를 들면, ‘빨간색 음식은 맵다’ 라는 도식을 가지고 있는 유아가 있다면, 토마토케첩을 보고 맵다는 동화작용이 일어날 것이다. 그런데 먹어보니 맵지 않다면 조절을 통.. 2024.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