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삶을 아름답게 변화시키는 속회, 롬 16:3-5, 속장&부속장 헌신예배 설교문

by tat tvam asi 2025. 1. 15.
반응형

 

 

삶을 아름답게 변화시키는 속회

롬 16:3-5

 

오늘 우리가 읽은 이야기의 주인공 브리스가와 아굴라 부부는 흑해 지방 아르메니아와 터키 국경지역에서 태어난 유태인인데, 로마에서 살다가 유태인 추방령에 의하여 강제 이주를 당해 고린도 지방까지 옮겨왔습니다. 그들은 상인으로 천막제조업 사업을 하다가, 고린도 지역에 선교하러 온 사도 바울을 만나 인생의 엄청난 변화를 이루게 된 것입니다.

 

행 18:24-26 / 알렉산드리아에서 난 아볼로라 하는 유대인이 에베소에 이르니 이 사람은 언변이 좋고 성경에 능통한 자라

그가 일찍이 주의 도를 배워 열심으로 예수에 관한 것을 자세히 말하며 가르치나 요한의 세례만 알 따름이라

그가 회당에서 담대히 말하기 시작하거늘 브리스길라와 아굴라가 듣고 데려다가 하나님의 도를 더 정확하게 풀어 이르더라

 

브리스길라와 아굴라의 삶의 모습이 총체적으로 변화됩니다. 인생의 가치관과 목적이 달라졌고, 행복의 기준이 달라졌으며, 온 가족이 교회중심으로 헌신하는 이상적 변화 모델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오늘 우리 속회는 어떤 변화를 꿈꾸어야할까요?

 

속회는 작은 교회입니다. 그러기에 교회가 하는 일을 다해야 합니다. 선교(예배, 전도), 교육, 친교, 봉사가 교회의 4대 사명이라면 속회의 사명도 동일 합니다.

그리고, 속회는 소그룹 모임이기에 속회만이 잘할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1. 깊이 있는 교제가 이루어지는 속회를 꿈꾸시기 바랍니다.

 

속회는 그 어떤 교회의 모임보다 구성원들이 열린 마음으로 모일 수 있는 곳입니다.

좋은 사귐의 가장 기본 요소는 열린 마음입니다. 사람은 여러 명이 모일 때보다 적은 사람이 모일 때 앞에서 마음을 열기 쉽습니다. 그럼으로 교회보다는 속회가 더 소속감을 갖는 데 도움이 됩니다. 소속감을 가지면 영적 부흥이 빠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신앙이 성장하려면 속회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합니다.

속회에서는, 그동안 삶에서 마음을 열지 못하던 사람들도 마음을 열어 신앙이 성장하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속회 지도자들은 성도의 성장을 위하여 속회를 깊이 있는 교제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사람이 살다보면 어렵고 힘든 일을 만나게 됩니다. 이때 위로자와 만나야 하는데, 바로 속회가 그 기능을 하는 곳입니다. 그러니 속회 지도자는 좋은 사랑의 인격을 가진 평신도 지도자가 되기 위해 부단히 기도해야 합니다.

 

오늘 말씀을 보면 브리스가와 아굴라 부부는 천막제조업이라는 사업상의 이유로 사도 바울을 만났습니다그리고는 예수님을 믿어 선교사역에 헌신하는 동역자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예수를 믿은 이후로 인생의 목적이 확연하게 변화되었습니다. 그들은 사업 관계의 동업자가 사역 관계의 동역자로 바뀐 것입니다.(사도행전 18:1-4. 디도서 3:13)

 

딛 3:13-14 / 율법교사 세나와 및 아볼로를 급히 먼저 보내어 그들로 부족함이 없게 하고

또 우리 사람들도 열매 없는 자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을 준비하는 좋은 일에 힘 쓰기를 배우게 하라 

 

사도 바울은 브리스가와 아굴라를 이렇게 소개합니다.

 

롬 16:3 / 너희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의 동역자들인 브리스가와 아굴라에게 문안하라

 

'그들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의 동역자다!' 여기 동역자라는 헬라어는 '짐을 같이 지고, 매를 같이 맞는 자'라는 뜻입니다.

본문 4절에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합니다.

 

롬 16:4 / 그들은 내 목숨을 위하여 자기들의 목까지도 내놓았나니 나뿐 아니라 이방인의 모든 교회도 그들에게 감사하느니라

 

'그들은 목숨 걸고 헌신하는 동역자다!' 브리스가와 아굴라는 예수 믿고 변화 받은 후에 삶의 목적이 달라졌습니다. 사업을 하고 돈을 벌어야하는 목적이 뚜렷하게 달라진 인생을 살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대신에 이웃의 생명구원에 헌신하는 자로 바뀌었습니다. 삶의 목적이 위대하게 변화되었습니다.

 

오늘 우리에게도 삶의 목적에 분명한 변화가 있기를 바랍니다.

변화의 궁극적 목적은 헌신입니다.

 

2. 모든 속도원이 헌신자로 변화되는 속회가 될 수 있게 꿈꿉시다.

 

기도를 어떻게 배울까요? 그냥 교회 다니다 보면 기도할 수 있는 자가 될까요? 아닙니다. 속회에서 배우는 겁니다. 봉사나 헌신, 헌금, 성미, 중보기도, 찬송, 대접하는 일, 남을 세워주는 일 등 좋은 신앙인의 생활은 속회에서 배워야 합니다. 이미 좋은 신앙인인 속회 지도자들을 통하여 배울 때 좋은 제자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목사님이 어떤 일을 하면 성도들은 '목사님이니까...' 라고 생각하고 쉽게 넘어가려 합니다. 따라서 목사님의 가르침을 자신의 삶속에 실현하게 되는 것은, 속회지도자의 삶의 모습을 보면서 느끼고 배우고 경험하면서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설교는 일방적인 경우가 많지요. 하지만 속회에서는 서로 사랑 안에서  묻고 답하는 과정을 통하여 실제적인 신앙훈련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브리스가와 아굴라 부부도 마찬가지 였습니다이 부부는 피혁 제조기술을 가진 유대인 상인이었습니다이역만리 낯선 도시인 로마에 가서 사업을 하다가, 유대인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졸지에 로마에서 추방당하게 됩니다그러다가 고린도에서 바울을 만나게 되었지요그리고 바울을 통하여 실제적인 신앙 훈련을 받으면서 바울의 선교 동역자로 헌신하게 됩니다.  

 

3. '속회 = 교회'입니다. 속회의 존재 이유는 하나님의 은총을 받기 위한 도구요, 통로로써 적절히 배치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은총은 하나이지만 때를 따라 돕는 은혜는 사람마다 상황마다 다르게 자극을 주어야 발달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상담이 필요한 사람은 상담 쪽을, 성장이 필요한 사람은 성장을 이끌어내도록 자극해 주어야 합니다.

 

속회는,

) 하늘가는 길(=복음)을 지향할 때 참된 의미를 가집니다.

) 속회는 성령공동체여야 합니다.

) 속회는 하늘가는 길이 체질화 & 내재화 되도록 연습하는 연습장입니다.

 

브리스가와 아굴라 부부가 보여주는 최고의 이상적 모델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어디를 가든지 자기 집을 교회로 사용했습니다. 고린도에서도, 에베소에서도, 그리고 로마에서도 여전히 자기 집을 교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자기 집을 교회로 사용했다는 것은, 자신이 있는 바로 그곳이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는 통로가 되게 하였다는 것이지요.

 

 16:5 / 또 저의 집에 있는 교회에도 문안하라 내가 사랑하는 에배네도에게 문안하라 그는 아시아에서 그리스도께 처음 맺은 열매니라

 

그들은 자기 집 안에다 교회를 세웠습니다.

 

속회 지도자 여러분!

여러분은 이 엄청난 소명을 가진 작은 교회의 청지기임을 잊지 마십시오. 

속회 지도자가 게으르면 속도원들도 게으를 것입니다. 

속회 지도자가 속회에 소홀하면 속도원들이 신앙을 소홀히 여길 것입니다. 

 

속회 지도자의 사랑의 손길과 눈물 어린 기도가 주님의 축복을 만들어낼 것입니다. 

 

우리 교회의 속회마다, 하나님 나라의 잔치를 경험하는 큰 축복의 통로가 되기를 축원합니다.

 

 

반응형